블로그 포스팅 좀 하려고 접속했더니 10선비님들의 훈계질 때문에 '후리자'를 후리자라고도 못 부르네요.
올해 '드래곤볼Z 부활의 F'의 주역 캐릭터는 후리자는 냉동실을 뜻하는 'Freezer'에서 따온 것이고 일본어 발음으로 'フリーザー', 즉 후리자로 발음이 됩니다.
어릴 적부터 드래곤볼은 국내판 콘텐츠 뿐만 아니라, 일본어판 콘텐츠도 접근을 오래했고 후리자라고 부르는 것이 개인적으로 어감이 좋아 블로그에서는 후리자라고 표기하는데 선비님들이 프리저라도 안적었다고 훈계질이네요; 또 후리자로 불러도 틀린 것도 아니고 문제도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럼 야무챠는 중국음식 얌챠에서 따왔고 얌챠라고 표기하는게 맞는게 아닌가요? 근데 우리나라에서 야무챠를 몇이나 얌차라 부를까요? 근데 어쩌죠? 라이센스 받아 국내에 합법적으로 드래곤볼 풀컬러판을 출시한 서울문화사는 야무치라는데요? 백날 누가 맞냐 아니냐 싸워도 합법적으로 가져온 곳이 야무챠를 야무치라 부르면 야무치이거든요?
아울러 카메하메하 대왕에서 따온 거북선인류 대표 필살기 에네르기파(국내명)는 카메하메하라고 일일히 적어서 설명 해줘야 되는거 아닌가요? 근데 이 것도 어쪄죠? 서울문화사에서는 원어 개무시하고 에네르기파를 합법적인 표기명으로 적었는데요?
또 있네 서울문화사 과거 정식라이센스판에서 자봉을 따봉이라 부르는데 따봉이라 불러도 되는데요? 후리자보다 더 출처불문한 프리더는 Freezer를 어떻게 읽으면 프리더라 부를까요? 아시는 선비님 있으시면 답변 좀 ㅋㅋㅋ 근데 어쩜? 대원이랑 서울문화사에서 프리더라 번역해서 이게 국내 정식 표기명인데?
제가 드래곤볼 1, 2년 즐긴 것도 아니고 남들보다 드래곤볼 관련 지식은 딸리다고 생각 안함, 또 콜렉션도 아쉬울 것 없이 가지고 있는데 선비님들 훈계질 감동이네요.
아 마지막으로 손오공은 원래 중국 서유기에서 나온 인물이니까 손오공이고 손고쿠고 나발이고 언어부심 쩌시는 선비님들은 쑨우쿵(SūnWùkōng)이라 부르시죠?
'드래곤볼 > 드래곤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드래곤볼 관련 게임 테마곡들이 머리 속을 맴도네요 (0) | 2015.03.05 |
---|---|
드래곤볼Z 부활의 F, 만화판 2화 프리뷰 (0) | 2015.03.05 |
[PS4] 드래곤볼 제노버스 - 후리자군 금은전투복 (0) | 2015.02.28 |
오랜만에 드래곤볼 카드 앨범 꺼내봤네요 (0) | 2015.02.24 |
드래곤볼 제노버스는 당분간 천천히 달려야겠군요 (0) | 2015.02.20 |